현장교육에 참여한 지구사랑탐사대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열기

공지사항 HOME

현장교육에 참여한 지구사랑탐사대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8-03 18:10

본문

웹사이트상위노출 현장교육에 참여한 지구사랑탐사대 13기 대원들.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연구원님 애벌레를 찾았어요! 이것도 해충인가요?” 7월 19일 관악산 초입 숲길의 왕벚나무 아래 지구사랑탐사대원들이 모였다. 봄철 흐드러졌던 꽃은 사라지고 푸른 잎만 남았지만 나무를 살펴보는 눈은 진지했다. 왕벚나무에 발생하는 해충을 찾기 위해서다. 지구사랑탐사대는 동아사이언스 과학 잡지 '어린이과학동아'와 장이권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가 2013년부터 진행해 온 시민과학 프로젝트다. 참가자들은 탐사대원으로서 우리 주변의 생물 16종을 탐사해서 기록한다. 과학자들은 이 기록을 연구 자료로 활용한다. 올해는 13기를 맞아 재단법인 숲과나눔과 함께 '시민과학풀씨' 4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시민과학풀씨'는 환경과 안전, 보건 분야 연구자들이 시민과 함께 연구하는 프로젝트다. 올해 선정된 5개 팀 가운데 이날은 ‘원정운’ 팀의 현장 교육이 열렸다. ‘원정운’ 팀은 원광대 곤충분류학 및 생태학 실험실에 재학 중인 원정운 학생이 만든 팀이다. 전국의 왕벚나무 군락지 중 15곳을 조사지로 선정해 왕벚나무에 발생하는 해충의 종 목록을 만들고 피해 정도를 지역별로 비교하는 연구를 한다. 이날 원정운 팀과 지구사랑탐사대 대원 17명은 서울 관악산 숲길에 식재된 왕벚나무의 해충을 조사했다. 왕벚나무는 나무 몸체가 나선형이고 줄기에 어긋나게 잎이 나는 특징이 있다. 우리나라 가로수 중 소나무에 이어 두 번째로 해충의 피해를 많이 입는 나무다. 잎을 갉거나 말아서 고사시키는 나비목 유충 등 식엽성 해충, 식물의 즙액을 빨아먹는 노린재 등 흡즙성 해충, 진딧물류 등 다양한 해충이 왕벚나무에 발생한다. 왕벚나무에서 발견된 뒷검은푸른쐐기나방 유충.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대원들은 포충망을 이용해 왕벚나무의 잎과 줄기 등에서 곤충을 채집한 다음 원정운 연구원과 함께 동정하고 나무에 어떤 피해를 입히는지 살펴봤다. 대원들은 왕벚나무 잎에서 독나방 애벌레와 뒷검은푸른쐐기나방 애벌레를 발견했다.현장교육에 참여한 지구사랑탐사대 13기 대원들.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연구원님 애벌레를 찾았어요! 이것도 해충인가요?” 7월 19일 관악산 초입 숲길의 왕벚나무 아래 지구사랑탐사대원들이 모였다. 봄철 흐드러졌던 꽃은 사라지고 푸른 잎만 남았지만 나무를 살펴보는 눈은 진지했다. 왕벚나무에 발생하는 해충을 찾기 위해서다. 지구사랑탐사대는 동아사이언스 과학 잡지 '어린이과학동아'와 장이권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가 2013년부터 진행해 온 시민과학 프로젝트다. 참가자들은 탐사대원으로서 우리 주변의 생물 16종을 탐사해서 기록한다. 과학자들은 이 기록을 연구 자료로 활용한다. 올해는 13기를 맞아 재단법인 숲과나눔과 함께 '시민과학풀씨' 4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시민과학풀씨'는 환경과 안전, 보건 분야 연구자들이 시민과 함께 연구하는 프로젝트다. 올해 선정된 5개 팀 가운데 이날은 ‘원정운’ 팀의 현장 교육이 열렸다. ‘원정운’ 팀은 원광대 곤충분류학 및 생태학 실험실에 재학 중인 원정운 학생이 만든 팀이다. 전국의 왕벚나무 군락지 중 15곳을 조사지로 선정해 왕벚나무에 발생하는 해충의 종 목록을 만들고 피해 정도를 지역별로 비교하는 연구를 한다. 이날 원정운 팀과 지구사랑탐사대 대원 17명은 서울 관악산 숲길에 식재된 왕벚나무의 해충을 조사했다. 왕벚나무는 나무 몸체가 나선형이고 줄기에 어긋나게 잎이 나는 특징이 있다. 우리나라 가로수 중 소나무에 이어 두 번째로 해충의 피해를 많이 입는 나무다. 잎을 갉거나 말아서 고사시키는 나비목 유충 등 식엽성 해충, 식물의 즙액을 빨아먹는 노린재 등 흡즙성 해충, 진딧물류 등 다양한 해충이 왕벚나무에 발생한다. 왕벚나무에서 발견된 뒷검은푸른쐐기나방 유충.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대원들은 포충망을 이용해 왕벚나무의 잎과 줄기 등에서 곤충을 채집한 다음 원정운 연구원과 함께 동정하고 나무에 어떤 피해를 입히는지 살펴봤다. 대원들은 왕벚나무 잎에서 독나방 애벌레와 뒷검은푸른쐐기나방 애벌레를 발견했다. 나뭇잎을 갉아먹는 식엽성 해충들이다. ㅇ3 왕벚나무에서 발견된 배나무방패벌레(왼쪽)와 배나무방패벌레로 인해 피해를 입은 왕벚나무 잎(오른쪽). 원정운 제공 흡즙성 해충인 배나무방패벌레도 발견됐다. 원정운 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7월 무렵 웹사이트상위노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도시재생사업 쇼핑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