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다이노극장판>이 9위입니다. 전편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08-14 20:44본문
동두천치과
<고고다이노극장판>이 9위입니다. 전편의 경우 3년 전에 개봉하여 5만 4천명을 기록했죠. 이번 작품은 와이드 개봉이 아닌 롯데시네마 단독 개봉으로 첫 주에 3만 3천명을 기록합니다. 시즌이 다르다는 점이 있어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일단 해당 작품으로는 성공적인 데뷔네요. 다만 좌석점유율이 다소 어중간한 수치를 보여주는 것이 위험요소입니다.* <스머프> 리뷰 보기* 자료 출처: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 추정치 기준CGV에선 한국 공포 영화 <강령:귀신놀이>를 개봉합니다. 메가박스의 경우 소니의 <머티리얼리스트>를 단독 개봉하게 되네요. 시즌성 영화에다 짧은 러닝타임 등의 장점이 있지만 작품이 성공해도 단독 개봉한 극장 입장에선 상대적인 부진을 느낄 수 있는 시즌입니다. 롯데시네마에선 <죠스> 50주년 재개봉을 진행하네요.작년 개봉한 <파일럿>과 비교하면 상당히 유사한 추이를 보입니다. 개봉 당일 쿠폰이 더해졌기에 오프닝 성적에선 차이가 났지만 그 이후엔 <좀비딸>이 평일 2만명 이상을 앞서고 있는 상황이네요. 대신 일요일은 <파일럿> 대비 하락폭이 조금 더 큽니다. 그럼에도 <좀비딸>이 <파일럿>보다 상영 규모가 작았으며 이로 인해 객석률이 더 높다는 것은 <파일럿>의 471만명보다 높은 성적을 기록할 가능성도 있다는 얘기죠. <파일럿> 2주차엔 별다른 경쟁작이 없었는데 <좀비딸> 역시 비슷한 상황이고 3주차엔 각각 <에이리언:로물루스>와 <악마가이사왔다>가 개봉하게 됩니다. 3주차까진 비슷하나 4주차에 <극장판귀멸의칼날:무한성편>이 공개되는 건 막판 뒷심에 큰 영향을 줄지도 모르겠네요. 프리미어 시사도 진행하니까요. 어쨌거나 여름 시즌 천만은 2018년의 <신과함께-인과연>이 마지막이었네요. 이제 여름휴가 시즌과 명절에도 대형 히트작을 마냥 기대하긴 어렵습니다. <좀비딸>은 일단 500만 정도를 기대할 수 있는 스타트를 보이면서 작년 12월의 <하얼빈> 이후 최고 흥행 한국 영화가 될 수 있을지가 관건입니다.금주엔 두 편의 한국 영화 사이에 개봉하여 대형 작품은 없습니다. 통상 8월 첫째 주 작품도 텐트폴에 준하는 영화가 개봉하기 마련인데 한국 영화는 없으며 대신 외화들이 있습니다. <존윅> 세계관의 3편과 4편 사이의 스핀 오프에 해당하는 <발레리나>는 여름 시즌에 어울리는 액션 영화입니다. 블록버스터로 부르기엔 망설여지지만 영화의 성향과 매력은 딱 90년대 여름 영화라 할 수 있겠네요. 지금이라면 온 가족이 볼 수 있는 한국 영화 외에 특정 관객층을 노린 외화들이 있기 마련인데 하필 가 승승장구 중인 시장에 뛰어들게 되었습니다. 아마도 예상 밖의 흥행 전개라 <발레리나>로서도 골치가 아프겠네요. 북미에서도 <존윅4>에 비해 약 3분의 1 수준으로 흥행력이 떨어졌는데 그럴 경우 국내도 약 50~60만명 정도의 흥행 성적을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그러나 배우의 인지도가 부족한 편이고 존윅 세계관을 마냥 적극적으로 홍보하기도 애매한 상황이라 개봉 전 호평이 주를 이루는 반응에도 불구하고 고전을 면치 못할 수도 있겠네요.* <발레리나> 리뷰 보기다른 커뮤니티에서 가격을 할인하니 극장이 미어터진다는 글을 보기도 했는데요. 이번 여름 휴가 시즌 주말은 220만 수준으로 재작년과 거의 동일합니다. <밀수>,<비공식작전>의 신규 개봉과 뒷심 발휘 중인 <엘리멘탈>이 있었죠. 쿠폰 영향으로 오히려 조금 버텼다는 인상을 줄 정도로 올해 극장가도 한산합니다. 정말 맥시멈 시즌에 비하면 절반 이하의 성적이기도 하고요. 주말 540만명은 도대체 어떤 시즌이었는지 기억도 가물합니다.<전지적독자시점>과 <판타스틱4:새로운출발>의 부진으로 인해 적신호가 켜진 극장가가 남겨둔 카드는 <좀비딸>이었습니다. 여름 가장 큰 시장에 개봉한 만큼 <전지적독자시점>마저도 <좀비딸>에 한수 접어둔 것처럼 되었는데 결과적으로도 환상적인 스타트를 보이면서 단숨에 1위에 올랐네요. 사실 팬데믹 이전까지는 이 시즌에 개봉하는 한국 영화는 주말 200만명 정도가 성공을 가늠하는 수치였습니다. 200만과 비교하자면 116만명은 한창 부족한 성적처럼 보이긴 하지만 근래 여름 시즌 한국 영화의 성적표를 생각하면 만족스럽다고 하겠네요.1위로 데뷔했던 <전지적독자시점>이 4위로 내려왔습니다. 73%가 하락하면서 사실상 여름 시장에서 탈락 선고를 받은 것이나 마찬가지네요. 이렇게 하락하니 <외계+인> 시리즈보다 저조한 성적으로 마무리될 전망입니다. 금주에 100만명을 넘기고 110~120만 정도가 최대치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영화의 반응이 좋았다 해도 한계가 명확한 영화이지 않을까 생각했었네요. 이 정도 제작비의 영화라면 50~60대 관객들도 끌어들일 수 있어야 하는데 소재 자체가 젊은 관객 위주로 400~500만 관객 넘기는 어렵지 않았을까요? 결과적으로 대규모 제작비 투자가 필요한 영화들의 제작 위축은 심화될 것으로 보이고 그나마 확실히 이름난 감독의 영화들 정도만이 투자 받을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그런 면에서 <호프>나 <어쩔수가없다> 같은 작품은 꼭 성공이 필수이고 <왕을찾아서>는 말할 것도 없습니다.홀수 순위만 기록하고 있는 <명탐정코난:척안의잔상>입니다. 3주차에 55%가 하락하면서 7위를 기록했는데 작년 <명탐정코난:100만달러의펜타그램> 대비 3주차 주말 성적은 높고 누적 관객수는 거의 동일합니다. 전편이 4주차에 딱 70만명에 도달했네요. 이번 작품 역시 70만명 정도는 확보한 것으로 보입니다. 최악은 피했다고 볼 수 있겠네요. 4DX로 재개봉하면 추가로 성적을 쌓을 수도 있겠고요.* 전주 주말 관객: 1,730,712명 / 객석률 23.3%가장 무더웠던 시기에 가까스로 주말 200만 관객을 넘긴 국내 극장가는 화제작이 있긴 하지만 압도적인 모습을 보이진 못했고 이름값 정도를 하거나 그 이하의 반응을 보이면서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짙어가고 있습니다. 여름 텐트폴 영
동두천치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