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점유율 15% 기록…연 처방액 2000억원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8-08 10:17본문
쿠팡퀵플렉스
시장 점유율 15% 기록…연 처방액 2000억원 정조준비만·당뇨 신약 후보물질 'IN-B00009' 3상계획 승인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 처방액 추이(단위 억 원).(HK이노엔 제공)/뉴스1 양혜림 디자이너(서울=뉴스1) 황진중 기자 = HK이노엔(195940)이 개발한 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성분명 테고프라잔) 처방액이 500억 원대에 안착했다. 처방 순항 시 올해 연간 처방액 2000억 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HK이노엔은 케이캡 현금창출력에 기반을 두고 비만·당뇨 신약 후보물질 등 연구개발(R&D)에 나선다.케이캡 2Q 처방액 533억 기록…시장점유율 굳건8일 업계에 따르면 케이캡은 올해 2분기 533억 원의 처방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467억 원) 대비 14.3% 증가한 수치다. 상반기 누적 처방액은 1047억 원으로, 현 추세가 이어질 경우 연간 2000억 원 돌파도 가능할 전망이다.케이캡은 지난해 3분기 처음으로 분기 처방액 500억 원을 넘긴 뒤, 3분기 연속 500억 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3분기 504억 원, 4분기 547억 원, 올해 1분기 514억 원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2023년 기준 위식도역류질환 등을 포함한 국내 소화성궤양용제 시장 규모는 1조 3754억 원이다. 이 가운데 P-CAB 계열 약물은 24.5%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케이캡은 전체 시장의 15%를 점유하고 있다. 후발 약물 출시에도 꾸준히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다.케이캡은 위산에 의해 활성화될 필요 없이, 직접 프로톤펌프의 칼륨 이온과 경쟁적으로 결합해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P-CAB(칼륨 경쟁적 위산 분비 차단제) 계열 약물이다.분기 기준 500억 원대 처방 실적을 유지할 수 있는 배경으로는 풍부한 적응증이 꼽힌다. 케이캡은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위궤양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을 위한 항생제 병용요법 △치료 후 유지요법 등 총 5가지 적응증을 보유하고 있다.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를 넘어 전반적인 위장질환 치료제로 입지를 확장하고 있다는 분석이다.국내 입지 다진 케이캡, 바다 건넌다…연내 美 허가신청서 제출 전망케이캡의 명성은 국내를 넘어 해외로 나갈 예정이다. HK이노엔은 파트너사를 통해 글로시장 점유율 15% 기록…연 처방액 2000억원 정조준비만·당뇨 신약 후보물질 'IN-B00009' 3상계획 승인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 처방액 추이(단위 억 원).(HK이노엔 제공)/뉴스1 양혜림 디자이너(서울=뉴스1) 황진중 기자 = HK이노엔(195940)이 개발한 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성분명 테고프라잔) 처방액이 500억 원대에 안착했다. 처방 순항 시 올해 연간 처방액 2000억 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HK이노엔은 케이캡 현금창출력에 기반을 두고 비만·당뇨 신약 후보물질 등 연구개발(R&D)에 나선다.케이캡 2Q 처방액 533억 기록…시장점유율 굳건8일 업계에 따르면 케이캡은 올해 2분기 533억 원의 처방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467억 원) 대비 14.3% 증가한 수치다. 상반기 누적 처방액은 1047억 원으로, 현 추세가 이어질 경우 연간 2000억 원 돌파도 가능할 전망이다.케이캡은 지난해 3분기 처음으로 분기 처방액 500억 원을 넘긴 뒤, 3분기 연속 500억 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3분기 504억 원, 4분기 547억 원, 올해 1분기 514억 원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2023년 기준 위식도역류질환 등을 포함한 국내 소화성궤양용제 시장 규모는 1조 3754억 원이다. 이 가운데 P-CAB 계열 약물은 24.5%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케이캡은 전체 시장의 15%를 점유하고 있다. 후발 약물 출시에도 꾸준히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다.케이캡은 위산에 의해 활성화될 필요 없이, 직접 프로톤펌프의 칼륨 이온과 경쟁적으로 결합해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P-CAB(칼륨 경쟁적 위산 분비 차단제) 계열 약물이다.분기 기준 500억 원대 처방 실적을 유지할 수 있는 배경으로는 풍부한 적응증이 꼽힌다. 케이캡은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위궤양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을 위한 항생제 병용요법 △치료 후 유지요법 등 총 5가지 적응증을 보유하고 있다.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를 넘어 전반적인 위장질환 치료제로 입지를 확장하고 있다는 분석이다.국내 입지 다진 케이캡, 바다 건넌다…연내 美 허가신청서 제출 전망케이캡의 명성은 국내를 넘어 해외로 나갈 예정이다. HK이노엔은 파트너사를 통해 글로벌 곳곳에 케이캡을 선보이고 있다. 지난달 30일을 기준으로 53개국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고 국내 포함 16개국에서 출시됐다. 태국, 파라과이, 에
쿠팡퀵플렉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